PR Center

공지사항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산업 정보

본문


2024년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산업 정보


- 비전 2030의 핵심 분야인 석유화학산업

- SABIC, Aramco 등 탄탄한 석유화학 기업에 대한 정부 차원의 투자 확대 중



사우디 석유화학 산업 개요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화학 산업은 비 석유부문 경제의 핵심으로, 2024년 기준 비 석유분야 수출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1930년대 방대한 유전이 발견된 이후, 사우디는 석유화학 제품의 부가가치에 대한 잠재력을 빠르게 인식했다. 1976년 사우디 기본산업회사(사빅, SABIC)의 설립은 하나의 전환점이 됐으며, 사우디는 풍부한 천연가스를 통해 화학물질과 플라스틱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사빅(SABIC)은 현재 세계에서 가장 크고 다양화된 석유화학 회사 중 하나가 됐다.


사우디의 경제개발계획인 비전 2030에 따라 석유화학 산업에 대한 투자도 계속되고 있다. 사우디의 석유화학 산업은 생산 능력의 향상, 원료 가격 압박 완화로 인한 수익률 개선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중국 본토의 부진한 수요는 우려 사항이지만, 사우디는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유럽의 경쟁자들을 능가하고 있다. 하지만 지정학적 위험은 지속적인 하방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요 석유화학 기업으로는 아람코(Aramco)와 사빅(SABIC), 사다라 케미컬(Sadara Chemical) 등이 있다.



사우디 석유화학 산업 주요 동향



2a81fa2c579f47f71255133a5eb4d9a2_1740050576_675.jpg




사빅(SABIC)은 2024년 2분기 순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5% 증가한 21억 8,000만 사우디 리얄(SAR, 미화 5억 8,100만 달러)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또한 사빅은 2024년 6월, 기업가치 33억 달러로 평가된 철강 사업부 하디드(Hadeed)를 매각했다. 사빅의 매출은 평균 판매 가격 상승과 판매량의 소폭 증가로 인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 증가한 357억 SAR를 기록했다.

 

2024년 7월, Sipchem 사는 SGC E&C와 SGC Arabia에 1억 8,700만 달러 규모의 EPC(설계·조달·건설) 계약을 체결해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의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공장을 확장할 예정이다. 이 공장의 생산 능력은 연간 7만 톤 증가해 약 29만 톤에 이를 것이며, 프로젝트는 2027년 4분기에 완료될 예정이다.

 

2024년 6월, LyondellBasell(LYB)은 Alujain Corporation으로부터 National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any(NATPET)의 지분 35%를 5억 달러에 인수했다. 

 

NATPET은 약 40만 톤의 연간 폴리프로필렌(PP)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LYB는 이 합작 회사의 생산량 대부분을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Alujain과 LYB는 또한 NATPET 부지에서 프로판 탈수소화(PDH) 및 폴리프로필렌(PP) 시설의 건설을 검토 중이며, 최종 투자 결정만이 남아있다.




2a81fa2c579f47f71255133a5eb4d9a2_1740050583_4285.jpg




사우디 아람코와 토탈에너지(Total Energies)는 110억 달러 규모의 아미랄(Amiral) 석유화학 시설을 건설 중이다. 이 시설은 2027년에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며, 크래커 유닛(Cracker Unit, 화학물질 생산설비)은 연간 165만 톤의 에틸렌 생산 능력을 보유할 것이다.

 

Advanced Global Investment와 한국의 SK가스 Petrochemical은 주베일에 18억 달러 규모의 PDH 및 PP 프로젝트를 위해 85:15의 합작 투자(JV)를 계획하고 있다. 이 복합 시설의 두 PP 공장은 각각 연간 40만 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게 되며, PDH 공장은 84만 3,000톤의 프로필렌을 생산할 예정이다. 통합 단지는 2026년 4분기에 상업 운영을 시작할 예정이며, 2024년 1분기 Advanced는 연간 7만 톤 생산 능력을 갖춘 IPA 공장의 건설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공장은 2026년 4분기에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기타 신규 시설로는 Sipchem의 Saudi Ethylene and Polyethylene Company 내 에틸렌 크래커 공장 확장이 있다. 이 프로젝트는 2026년 상반기에 시작될 예정이며, 올레핀 생산량이 18% 증가해 연간 18만 톤의 에틸렌과 5만 1,000톤의 프로필렌 생산 능력이 추가될 것이다.

 


사우디 석유화학산업 관련 정책




2a81fa2c579f47f71255133a5eb4d9a2_1740050591_0003.jpg




비전 2030은 제조업의 국내총생산(GDP) 기여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에 따라 정부는 관련 국내 가치사슬 개발을 이끄는 정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 부문 개발은 국가개발 및 물류 프로그램(NIDLP), 산업 클러스터 프로그램, 사우디아람코의 IKTVA(In-Kingdom Total Value Add) 프로그램과 같은 주요 전략적 이니셔티브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정부와 민간 부문 모두 경제를 다각화하고 국내 일자리를 창출하며, 업계 리더를 위한 지식 및 기술 이전을 유도하기 위한 다운스트림 석유화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산업 클러스터 형성은 경제 다각화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경쟁적이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기업의 수평 및 수직적 확장을 촉진한다. 여기에는 화학물질 생산 관련 가스 추출 및 처리, 정제와 기존 광물, 플라스틱 및 기타 다운스트림 산업 공급망 간의 연계를 식별하는 작업이 포함된다. 

 

사우디아라비아는 산업 기반이 확대됨에 따라 천연가스와 석유화학 제품의 수출을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최근 출범한 글로벌 공급망 회복력(GSCRI) 프로그램은 산업 경제 구역 및 종합 운송 및 물류 서비스를 구축하기 위해 400억 SAR(10억 6,000만 달러)을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이는 국가개발 및 물류 프로그램(NIDLP)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

사우디 아람코가 석유에 더불어 천연가스 및 화학물질 분야의 지배적 주체로 부상함에 따라 IKTVA 지역화 프로그램은 파트너 기업에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IKTVA는 아람코 공급업체를 위한 프레임워크로, 주요 사업 부문의 상업적 확장과 함께 지역 콘텐츠 확보 및 국내 일자리 창출의 핵심 수단이다.

 

기타 관련 프로그램으로 국가 전환 계획 2025(National Transformation Plan 2025)와 메이드 인 사우디(Made in Saudi) 이니셔티브도 석유화학 산업과 관련이 깊다. 이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는 산업 기반 강화, 기술 혁신 촉진, 국내 및 해외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사우디 석유화학 산업 수출입 관련 주요 이슈




2a81fa2c579f47f71255133a5eb4d9a2_1740050599_0551.jpg




홍해에서의 선박 공격은 사우디아라비아의 PE(폴리에틸렌)과 PP(폴리프로필렌) 수출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얀부에 위치한 PP 생산업체 Natpet은 공격으로 인해 수출을 중단했으며, SABIC의 자회사인 Yansab과 Yanpet 사 또한 영향을 받고 있다. 이 상황은 Petro Rabigh 사의 운영에도 지장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홍해 연안의 생산업체들은 사우디아라비아 PP 및 PE 생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각각 1.7mtpa와 3.2mtpa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동부지역의 폴리머 생산업체들은 영향을 받지 않아 아시아로의 선적을 계속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서부 생산업체들은 상황이 악화될 경우 주베일과 담맘을 통한 도로 운송이나 희망봉(Cape of Good Hope)을 경유한 운송 방식을 이용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희망봉 경유 옵션은 운송 프리미엄을 초래해 구매자들에게 부담이 될 수 있다.

 

안보 상황이 해결될 경우, 서부의 사우디 생산업체들은 동료 경쟁업체들에 비해 경쟁 우위를 다시 누릴 가능성이 높다. 한편, 중국은 베이징의 경제 자립 강화 전략에 따라 국내 석유화학 생산 능력이 많이 증가하면서 사우디의 수입이 줄어들고 있다. 아시아 석유화학 무역량의 증가는 불확실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공급망의 핵심 역할을 하며 공급자이자 소비자로 남을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우디아라비아는 중국으로의 수출 중심 전략에서 중국 내 석유화학 생산에 투자하는 전략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외부 시장의 다변화가 필요하게 됐다. 특히 중국 PP 시장(전 세계 소비의 40%를 차지)에서는 2022년에 1% 감소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정유기업과의 통합으로 비용 절감을 꾀하는 상황에서 발생했다. 중국의 PP 생산이 더 크고 경쟁력 있게 확대되면서 사우디의 수입은 크게 감소할 가능성이 있으며, 중국은 10년 동안 전 세계 순수입의 60%를 차지했던 위치에서 순 수출국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사우디아라비아 수출에 큰 도전 과제가 될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인도 시장이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인도 석유화학 시장 규모는 2020년 약 1,800억 달러에서 2025년 3,000억 달러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사우디 수출의 일부 지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중국과의 무역 감소를 완전히 상쇄하기에는 부족하다. 인도 화학 시장의 성장 동력은 아직 1인당 화학제품 소비량이 낮다는 점, 수출 수요의 증가, 정부의 지원 및 인센티브 정책 등이다.

 


사우디 석유화학산업 주요 품목 생산량 및 수출 비중




2a81fa2c579f47f71255133a5eb4d9a2_1740050612_0469.jpg




사우디는 SABIC 및 ARAMCO 사를 비롯해 다양한 석유화학기업들을 보유하고 있고, 해당 기업들은 사우디의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들의 생산을 담당하고 있다. 사우디의 석유화학제품 주요 수출국은 중국, 인도, 미국, 벨기에, 대한민국 등이다.

 


사우디 석유화학산업 유망분야




2a81fa2c579f47f71255133a5eb4d9a2_1740050622_1348.jpg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 산업은 비전 2030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경제 다각화를 위한 국가적 전략 아래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석유 의존도를 줄이고 산업 가치를 높이기 위해 석유화학 부문이 선택됐으며, 이는 대규모 투자와 전략적 인프라 개발을 통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특수 화학물질은 사우디아라비아 석유화학 산업의 가장 유망한 분야 중 하나로,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전환을 이끌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는 2035년까지 특수 화학물질 생산 능력을 연간 870만 톤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플라스틱 및 엘라스토머(탄성중합체) 생산도 연간 1억 1,570만 톤으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플라스틱, 고무 전환, 무기 화합 물질과 같은 분야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에너지 가격 경쟁력은 사우디아라비아의 석유화학 산업 확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경쟁력 있는 원료 가격과 첨단 생산 기술의 활용은 글로벌 시장에서 사우디아라비아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또한, 업스트림 및 다운스트림 부문 간의 높은 통합 수준은 생산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가능하게 하며, 이를 통해 세계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사우디아라비아는 특수 제품 개발 및 첨단 기술 연구에 지속적으로 투자하며, 플라스틱 및 화학물질의 고부가가치화와 산업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방향은 사우디아라비아를 석유화학 산업의 글로벌 리더로 만들어가는 주요 원동력이 될 것이다.



* 자료제공: 유로모니터, SABIC, ARAMCO, Fitch Solutions, GASTAT, KOTRA 리야드무역관 자료종합

* 자료편집: 핸들러전문지


우진플라임 대표이사 : 김익환
주소 : 충북 보은군 장안면 우진플라임로 100 (28913)
팩스 : 043-543-1420
전화번호 : 043-540-9000 고객센터(A/S문의) : 1644-0990
E-mail : info@wjpim.com

Copyright © 2020 WOOJINPLAIMM CO., 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