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시장동향
본문
베트남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시장동향
- 베트남의 플라스틱 시장 규모는 221억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9% 증가
- 2021년부터 2026년까지 향후 5년간 연평균 15.88% 성장할 것
베트남 산업 무역부에 따르면, 2010년부터 2020년까지 10년간 플라스틱 산업은 연평균 16~18% 높은 비율로 발전했다. 일부 플라스틱 품목은 연간 성장률이 약 100%에 달할 정도로 고성장을 이루는 분야이다.
또한 베트남 환경부에 따르면, 평균 플라스틱 소비량은 41.3kg으로 1990년 3.8kg보다 10배 이상 많고, 특히 도시 지역에서 소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코로나19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플라스틱 산업은 높은 시장 성장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베트남 플라스틱협회(VPA)는 2020년 시장 규모가 221억 8,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9% 증가했다고 밝혔다.
시장 규모 및 동향
베트남 플라스틱협회(VPA)에 따르면, 현재 베트남 내 현지 기업 중 폴리카보네이트(HS Code 390740)를 생산 가능한 업체는 없으며, 시장 수요는 전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2020년 해당 품목의 총 수입액은 3억2,433만1,000달러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2년간 연평균 25.45%의 높은 성장률을 보였다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2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7.11%로 수입 둔화를 보였다.
그러나 시장 전망기관인 Mordor Intelligence는 베트남의 폴리카보네이트 시장이 2021년부터 2026년까지 향후 5년간 연평균 15.88% 성장할 것이라 내다보았다.
수입 가격
베트남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입 가격은 2018년 톤당 3,413달러로 최고점을 찍은 후, 점차 감소하여 2020년 톤당 2,830달러에 이르렀다. 세계 폴리카보네이트 시장의 가격은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2016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 베트남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입 가격 역시 연평균 8.5% 하락했다.
시장 수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 비즈(Polycarbonate Polymer Beads)는 건설 및 기술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가 건축 자재 생산에서 가장 크게 적용되는 분야는 폴리카보네이트 시트(polycarbonate sheet)이다. 소켓, 플러그, 전기·전자 산업의 플라스틱 부품, 보호안경, 헬멧 안경, 문구류 등의 생산에 사용된다.
또한 온실을 만들기 위한 자재로 조립식 폴리카보네이트 온실 패널이 널리 쓰이므로 농업이 발달한 베트남에서는 유망한 부문이다. 이 외에도 베트남의 건설 경기가 호조이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들어진 경량 지붕 혹은 건축자재에 대한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의 건설 경기와 농업경기의 호조는 베트남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성장에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수입 규모
베트남에 폴리카보네이트를 가장 많이 수입하는 국가는 한국이다. 2020년 베트남의 폴리카보네이트 대한 수입 규모는 1억2,280만 달러, 전체 수입의 37%를 차지하며, 중국(21.9%), 일본(14.7%), 태국(12.3%), 대만(5.4%), 사우디아라비아(4.6%)가 그 뒤를 잇고 있다. 한국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제조 회사는 롯데 케미칼이 대표적으로, 이 회사는 무역의 용이성을 위해 하노이와 호찌민 등 베트남의 양대 도시에 지점을 두고 있다.
경쟁 동향
베트남 현지 생산 플라스틱의 주요 원료는 PP, PET, PVC이며, 해외 의존도가 높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재활용 플라스틱 재료의 공급은 매우 부족하고 플라스틱 산업을 위한 지원 산업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베트남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수출하는 주요 업체로는 롯데케미칼(한국), Teijin(일본), Covestro AG(독일), 그리고 Sabic(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있다.
유통구조
베트남에서는 폴리카보네이트 자재 및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는 전량 수입되는 실정이다. 원자재 수입 후 건축용 및 기술용 폴리카보네이트 자재 및 부품 생산업체로 보내져서 각 기업에서 생산된 후, 최종 소비자에게 보내지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유통업자나 무역상사가 필요한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제조공장으로 직접 보내지게 된다.
폴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의 1차 소비자는 플라스틱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현재 전국적으로 2,000개 이상의 기업이 있으며, 주로 호찌민시(84% 이상)를 중심으로 민간 기업이 99.8%를 차지하고 있다. 기업 수로는 베트남 현지 기업이 85%를 차지하며 압도적으로 많으나, 투자 자본으로는 외국기업이 40%를 차지할 정도로 비율이 높다.
수입 관세 및 규제/인증
- 수입 관세율
베트남으로 HS Code 390740 (폴리카보네이트)를 수입할 경우 한-베트남 FTA로 인하여 수입 관세는 없으며, 부가가치세 10%가 있다.
- 규제/인증
한국에서 폴리카보네이트를 베트남으로 수출할 경우, 관련 베트남 수입 규제가 없으며, 인증도 불필요하다.
시사점
베트남 플라스틱협회(VPA)의 관계자는 KOTRA 하노이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베트남의 플라스틱 산업은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16%~18%(통신 및 섬유에 이어 세 번째)로 베트남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 중 하나라고 밝혔다.
베트남의 플라스틱 제품은 약 160개국에 수출되며, 베트남 플라스틱 기업의 주요 수출시장은 일본, 미국, 독일, 네덜란드, ASEAN(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한국 등으로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의 시장이 앞으로도 유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높은 열편향 온도, 저주파 및 고전압 절연 특성, 매우 적은 수분 흡수율 등은 폴리카보네이트가 전기·전자 산업과 건축산업에서 사랑받는 이유이다.
특히 폴리카보네이트의 투명성은 자동차 부품(테일, 백업, 안개등 등)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음식 및 제품 포장 용기, 가전 및 소비재(전기 주전자, 냉장고, 식품 믹서 등) 부품, 전기 및 전자제품 부품(휴대폰, 컴퓨터, 팩스 등의 구성품) 등으로 요긴하게 쓰인다.
전자상거래 시장이 성장하면서 포장 시장도 더불어 성장하고 있으며, 폴리카보네이트는 가볍기 목재 및 유리(포장) 포장재의 대체품으로 간주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유리나 목재 포장재보다 저렴하며, 내구성 또한 강하다. 또 여과성, 확산성, 지면광 균일성 등 덕분에 폴리카보네이트는 태양 전지판을 제조할 때 주요 재료로 선호된다. 이처럼 광범위한 폴리카보네이트 시장은 전자 산업, 자동차 산업, 건축산업 및 전자상거래 산업 성장과 함께 앞으로도 유망할 것으로 예상된다.
플라스틱 관련 진출 희망 기업은 2022년에 예정된 다음 전시회를 참고하여 베트남의 플라스틱 산업 동향을 파악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자료제공: KOTRA 하노이무역관
자료편집: 핸들러전문지
- 이전글폴란드 2차 전지 분리막 시장동향 22.01.20
- 다음글4호_ 1월 우진플라임 뉴스레터 (해외) 22.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