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 Center

공지사항

중국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동향

본문


중국 폴리카보네이트 시장 동향


- 한국산 폴리카보네이트의 최대 수출 대상국, 중국

- 의료소재, 광학 소재, 자동차 등 고부가가치 제품 분야에 주목할 필요 


 

제품명 및 HS CODE 




930c6a8ea95d72f8d24844ace062bf50_1729409981_4036.jpg




시장 현황


폴리카보네이트는 높은 빛 투과율, 고강도, 내열성, 절연성 등 장점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 중인 제품으로, 다양한 분야 에서 사용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산업 체인의 업스트림은 포스겐(COCL2), 디메틸 탄산염(DMC) 및 비스페놀 A(CHO2) 등의 석유화학 산업 영역이고, 다운스트림은 전기· 전자 제품, 건축 자재, 자동차 등 분야이다. 또한 생산 기술의 지속적 향상으로 항공우주, 광학소자, IT 정보 등의 분야로도 활용 범위를 확대하고 있다. 




930c6a8ea95d72f8d24844ace062bf50_1729409989_6996.jpg




중국에서는 전자제품, 자동차 등 산업의 수요가 증가하고 새로운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기술이 공개됨에 따라 2023년 중국 내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및 소비가 역대 최고치를 기록 했다. 생산량은 250만 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40.4% 증가했고, 소비량은 320만 톤으로 전년동기 대비 11.6% 증가했다. 최근 수년 글로벌 시장의 폴리카보네이트 성장은 동북아 지역이 이끌어 왔다. 


신규 생산 능력은 주로 중국에 집중돼 있으며, 한국과 러시아에서도 일부 생산하고 있다. 2023년 전 세계 폴리카보네이트 생산량은 700만 톤을 돌파했다. 이 중 1/3 이상을 중국에서 생산 중이며, 미국(21%), 한국(8%) 이 뒤를 이었다.




930c6a8ea95d72f8d24844ace062bf50_1729409995_3873.jpg




수입 동향


2016년부터 2021년까지 중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입량 은 코로나19로 인한 변동이 있었으나 전반적인 상승세를 보 이며 2021년 정점에 도달했다. 이후 중국의 폴리카보네이트 생산량이 증가하고 수입 대체가 빨라지며, 2022년과 2023년 중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입량은 감소했다.  


 


930c6a8ea95d72f8d24844ace062bf50_1729410006_7867.jpg




그 결과 2023 년 중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입액은 25억5,000만 달러로 전 년 대비 36.6% 감소했다. 2023년 중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입 상위 10개 국가/지 역의 시장 점유율은 총 93.6%에 달했다. 대만(22.1%)이 1위 를 차지한 가운데 한국(17.9%)은 4억6,000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다. 한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출액으로 보면, 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국으로 2023년 한국의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9.1%였다. 


2023년 중국의 폴리카보네이트 총수입량은 104만 톤, 평 균 수입 가격은 US $2.45/㎏였다. 중국의 10대 수입국 중 단 가는 네덜란드가 가장 높으며(US $5.6/㎏), 말레이시아가 가 장 낮았다(US $1.4/㎏). 한국산 제품의 단가는 2.1달러/㎏으 로 중국 평균 수입 가격보다 약간 낮은 수준이었다.




930c6a8ea95d72f8d24844ace062bf50_1729410013_0115.jpg
930c6a8ea95d72f8d24844ace062bf50_1729410015_2273.jpg




경쟁 동향 


최근 몇 년 동안 주요 제조업체의 생산 능력이 지속해서 강 화되고 환경 보호를 위해 낙후된 생산시설이 퇴출당하며 중 국 폴리카보네이트 산업은 주요 기업에 집중됐고, 상위 6개 기업의 총생산 능력이 전체의 약 70%를 차지하게 됐다. 2023년 말 중국 국내 폴리카보네이트 생산 능력은 300만 톤 을 넘어섰고 생산업체는 총 16개였다. 


중국의 상위 10개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업체 중 외자 또는 합작 회사는 Covestro(독일), SINOPEC SABIC(사우디아라 비아), TEIJIN(일본), MGC(일본) 4개가 있다. 한편 Covestro(독일), 저장석화, 완화(万华)화학은 모두 50만 톤 이상의 생산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 외 국가/지역에 40 만 톤 이상의 생산 능력을 갖춘 회사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중국 폴리카보네이트 자급률은 75%를 넘어섰으며 향후 3년간 약 100만 톤의 생산 능력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 된다. 수입 제품을 보면, 중국 시장의 주요 수입 브랜드에는 대만의 CHIMEI, IDEMITSU CHEMICALS, FORMOSA CHEMICALS, 한국의 LG, 롯데 등이 있다.




930c6a8ea95d72f8d24844ace062bf50_1729410024_2692.jpg




유통구조


폴리카보네이트 판매채널의 관점에서 볼 때, 대부분 기업의 유통방식은 생산부터 판매까지 통합된 형태로, 온라인 소매는 주로 주요 네트워크 플랫폼을 통해 홍보 및 판매된다. 2023년 중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입 지역은 주로 광둥성 (43.8%), 상하이(27.5%), 저장성(12.0%)에 집중돼 있었으며, 위의 3개 성의 수입액은 중국 전국의 83.3%를 차지한다. 



관세 및 수입 규정 


한중 FTA에 따르면, 중국의 한국산 폴리카보네이트 수입 품에 대한 관세율은 FTA 체결일로부터 15년간 인하되며, 2029년에는 관세율이 0%가 된다. 현재(2024년) 한중 FTA 관세율은 2.167%로 RCEP 세 율보다 낮다. 한편, 폴리카보 네이트 수입에 별도 규제 및 필요 인증은 없다. 




930c6a8ea95d72f8d24844ace062bf50_1729410034_1863.jpg




시사점


중국의 폴리카보네이트 시장은 지난 20년 동안 꾸준한 발전을 이루었지만, 중국 내 저가 산업이 동남아시아로 이전되면서 지난 2년간 보였던 성장 추세가 계속되기는 어려 울 것으로 보인다. 연구기관 에서는 향후 5년간 중국의 폴 리카보네이트 소비 증가율이 낮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중국 내 생산 역량이 계속 증가하며 폴리카보네이트 의 자급률도 상승세를 유지할 것이며, 2025년에는 중국의 국내 생산량이 국내 수요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판재, 일반 개조 및 합금용 제품과 같은 일부 저가형 전통 분야에서는 일정 부분 생산 과잉과 유사 제품 간 경쟁과열이 발생하며 가 격 경쟁이 격화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일부 고급 분야, 특히 의료, 특수 광학, 가전 및 자 동차 분야에서는 중국 국내 제조기업(외자 기업 포함)의 자체 생산이 어려워 수입에 의존해야 하며, 그 양은 15만 톤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 기업은 다양한 산업, 고객, 분야 맞게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자료제공: 중국 상무부, 华经산업연구소, 智研컨설팅, GTA, 化易天下, Sinopec News Network, KOTRA 우한무역관 자료 종합

* 자료편집: 핸들러전문지


우진플라임 대표이사 : 김익환
주소 : 충북 보은군 장안면 우진플라임로 100 (28913)
팩스 : 043-543-1420
전화번호 : 043-540-9000 고객센터(A/S문의) : 1644-0990
E-mail : info@wjpim.com

Copyright © 2020 WOOJINPLAIMM CO., LTD. ALL RIGHTS RESERVED.